서번트 일람표 | ||||||
클래스 |
아쳐(Archer) | |||||
마스터 |
얀 네클레스(Jan Necklace) | |||||
진명 | ||||||
성별 |
여성 | |||||
신장/체중 |
165cm / 50kg | |||||
목표 |
이 세상을 다시 보고, 당당히 사과할 수 있는 결심을
하는 것 | |||||
혈통 |
신성 | |||||
속성 |
중립 선 (Neutral Good) | |||||
능력치 |
총 20점 분배, E:1 D:2 C:3(C+:4 C++:5 C+++:6) B:4(B+:6 B++:8 B+++:10) A:5(A+:8
A++:11 A+++:14) EX:10 | |||||
랭크 분류 |
E |
D |
C(C+~+++) |
B(B+~+++) |
A(A+~+++) |
EX |
근력: E | ||||||
내구: E | ||||||
민첩: D | ||||||
마력: C | ||||||
행운: A+ | ||||||
보구: A | ||||||
보유 스킬(총 3개, 10점 분배) | ||||||
대마력 C |
마력에 대응하는 능력으로 마술 데미지를 감소시키거나 무효화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대마력 1랭크 당 3점의
마술 데미지를 감소시킵니다. 이는 보구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
단독행동 E |
마스터와 함께 행동하지 않아도 마력의 감소가 없습니다. 랭크가 높을수록 더 멀리, 오랫동안 떨어져 있을 수 있습니다. | |||||
신의 노래 A |
단순한 '신성' 이상의(상위의) '신의
축복'. 세상 모든 신들이 아르주나가 '절대로 이길 것'이라고 축복하고, 또 약속한 것에서 유래된 스킬. 사실상 A를 뛰어넘는 행운으로,
아르주나의 낮은 내구력을 보완하는, '자연물들이 아르주나를 해치는 것을 방해하는, 혹은 그녀의 승리를 방해하는, 최고의 '필드'를 조성하도록 돕는 스킬.
이 점을 이용하여, 아르주나는 자연을 전략처럼 이용할 수 있다. | |||||
보구(총 3개, 보구 랭크 초과 불가, 총 12점 분배) | ||||||
창천을 가르는 신의 축복 (간디바 : गाण्डीव) A |
대인보구. 불의 신 아그니가 준 인도 신화
최강의 활. 그 시위를 튕기는 소리조차 굉장히 특이하고 멀리까지 울려, 상대방의 집중을 방해하고 혼란을 준다. 아르주나 이상의 행운(즉, 행운 EX)이
아닌 이상 '어딘가는' 반드시 맞게 된다. 행운도가 낮은 상대일수록 치명상을 입을 확률이 높아진다. -
기본 데미지 10d6, 마력 소모 25 / 상대와 행운 대항판정을 해서 그 차이점만큼 추가 피해. 추가
데미지를 입힐 경우 추가 마력 소모 5 | |||||
신들의 왕께 영광된 권능을 (인드라스트라 바즈라) A |
대국보구. 어떠한 것이든, 하다못해
보통 학생들이 쓰는 '연습용 활'이라도, '데바(신) 인드라, 그 힘(샤크티)을
청하나이다─'란 언령을 통해 어마어마한 뇌창을 만들어낸다. 활을
쏘면, 의식적으로 마력을 담지 않아도 최소 반경 킬로미터는 초토화시키는 뇌격. 단, 인드라스트라의 뜻이 본래는 '뇌신의 힘'이기 때문에, 굳이
활의 형태만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검이나 다른 형태의 무엇으로도 쓸 수 있다. 연습용 활도, 빗자루도 힘을 담아 쓸 수 있지만, 풀 파워로 전개하려면 본체를 꺼내야 한다. 본체는 창의 형태가
기본이고 아르주나 역시 그렇게 쓸 때도 있으나, 역시 기본적으로는 활 형태로 사용한다. -
기본 데미지 10d6, 마력
소모 50 / 상대의 마력으로 인한 항마력 - 10 | |||||
신의 화신 (나리야나) D |
대인보구. 일종의 인형. 아르주나가 마스터의 옆을 지키지 못할 때, 아르주나 대신 마스터를 호위하거나, 주변을 탐색한다. 공격 능력의 유효시간은 짧지만, 평상시의 감각능력(시야, 탐색,스피드
등)은 아르주나와 동일하다. 기본적으로 아르주나의 명령을
최우선으로 실행. -
소모 마력 10, 아쳐와 2칸 거리 이내의 지역 정찰 가능 (드라마씬), 마력 10, 통상 전투 시 추가 데미지 +4, 피격 데미지 -4 |
* 그 외 상세설정
세계 최대의 대서사시이자, 가장 오래된 서사시 중 하나이며, 3대 서사시라 불리는 힌두교의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주인공. 판다바 5형제 중 셋째로, 그 이름의 뜻은
‘빛나는’ 또는 ‘은빛의’. 원전에서는 남성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남장을 하고 살아온 소녀. 판다바 형제들이 카우라바 형제들에게 쫓겨난 후 복수를 준비하면서 수행하다가 시바를 직접 만나서 힘(파슈파타)을 받았다. 그
직후 아버지 인드라가 그를 데리고 신들의 세계로 올라가서 신들과 안면을 트게 했고, 불의 신 아그니로부터
무적의 활 간디바를 받게 된다. 이 때 인드라는 아르주나에게 누군가 간디바를 다른 사람에게 주라는 요청을
받는 경우 그런 요청을 하는 사람을 반드시 죽이겠다는 맹세를 하도록 했다. 그 이후로 이름을 높이던
아르쥬나는, 결국 쿠르크셰트라 전쟁에서 스승-드로나와 비슈마, 그리고 자신의 옛 친우와 친족을 죽이게 된다. 무엇보다도, 자신의 ‘친형’이자, ‘호적수’이며, ‘연인’이었던 카르나를 자신의 전차몰이꾼이었던 비슈누의 아바타라, 크리슈나의
말을 듣고, 저주로 인해 무력해진 그를 토벌하게 된다. 그리고는
크리슈나에게 사실을 듣고, 또, 곧 자신이 어떻게든 지켜낸
백성들마저 괴로워질 칼리 유가(말세)가 시작된다는 말을 듣고는
절망. 최후는 형제들과 함께 크샤트리아에게 어울리지 않는 죽음을 맞이하며, 그 때 그가 쓰러져 죽은 원인은 ‘전쟁을 하루만에 끝내겠다’는 말 때문이었다고.
그 외 특징으로는, 최고의 현자 중 하나인 나라의 환생. 누구에게나 원하는 건 무엇이든 간디바를 제외하고 주어야 한다는 맹세. 하루
만에 혼자서 악샤우히니 하나를 멸한 것 등이 있다.
외모로는, ‘남자’로 표현되었던
원전에서 만만하면 칭송의 묘사가 등장. 여기서는 백은의 머리칼(약간의
하늘색 섞임)에 푸른 눈동자.
또, 한 때 우르바시의 저주로 일 년간 시종으로서 한 왕국의 왕자와 공주에게 시중들며 음악을 가르쳤다는 묘사로, 예술에 뛰어나다는 설정.
*소원은 도중에 약간 변경. 랜서쨩 덕분입니다.(<
- 전체
- 공지
- 0.1 ver. A
- 0.1 ver. B
- 0.2 ver. A
- 0.2 ver. B
- 0.3 ver. A
- 0.3 ver. B
- 0.4 ver.
- 0.5 ver.
- 0.6 ver.
- 0.7 ver.
- 0.8 ver.
그리고 역시 행운에 투자한 사람이 얼마 없었다는 점에서 간디바는 좋은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