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적사항 : 이름, 나이, 성별, 외형 등등의 설정
2) 배경 : 캐릭터가 살아왔던 삶. 그로 인해 가지게 된 신념 → 성배전쟁에 참가하게 된 이유, 목적, 성배에 바라는 소원
: 성배 전쟁에 참가하게 된 계기나, 성배에 바라는 소원 등은 반드시 캐릭터의 '신념'에 근거해야 합니다.
3) 관계 : 다른 마스터 캐릭터 중 최소 1명과 연관지을 것.
: 이 관계는 모든 캐릭터가 중복되지 않도록 상의 하에 정할 것.
: 모든 사람이 순차적으로 관계를 정했다면, 그 이후에 다른 캐릭터와의 관계는 자유롭게 설정 (안해도 무방)
4) 마스터의 레벨
계약한 마스터의 수준이 높을 경우, 서번트는 추가적인 보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래 원작의 설정에서는 마스터의 마력 수준에 영향을 받지만, PBBBS에서는 게임 상의 편의를 위해 마스터의 레벨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아래에 표에 따라, 계약한 마스터의 수준에 맞게 레벨 보정을 얻습니다. 계약한 마스터의 수준이 낮으면 서번트의 능력이 감소할 수 있음에 유의해 주십시오.
* 마스터의 레벨 결정
⓵ 플레이어들은 1 ~ 99 사이의 임의의 숫자를 골라 비밀글로 GM에게 제시합니다.
⓶ 이어, 원하는 인물을 두 명 선택하고, [높은 수]와 [낮은 수]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⓷ GM은 플레이어가 지목한 인물이 제시한 숫자 중 [높은 수]와 [낮은 수]를 확인합니다.
⓸ 플레이어가 제시한 숫자와, 선택한 숫자를 더합니다.
⓹ 만약 숫자의 합이 100을 초과한다면, 100의 자릿수를 제거합니다.
⓺ 그렇게 해서 나온 숫자에 따라, 아래의 표를 보고 레벨의 범위를 정합니다.
⓻ 마지막으로 1의 자리와 10의 자리를 더한 수치가, 레벨의 1의 자리 숫자가 됩니다.
숫자 범위 |
레벨 |
1 ~ 10 (10%) |
1 ~ 10 |
11 ~ 35 (25%) |
11 ~ 20 |
36 ~ 65 (30%) |
21 ~ 30 |
66 ~ 85 (20%) |
31 ~ 40 |
86 ~ 95 (10%) |
41 ~ 50 |
96 ~ 100 (5%) |
51 ~ 60 |
미키는 '사야카'의 능력치를 선택하지 않고 임의로 정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GM은 마스터 캐릭터 설정용 게시글을 작성해 둔 상태였으며, 미키는 그 곳에 비밀글로 [55] 라는 숫자와 [시즈키 & 사쿠라], [높은 수]를 써 두었습니다. 여기서 [시즈키]와 [사쿠라]는 마스터를 플레이 할 다른 플레이어들의 닉네임 입니다. 시즈키와 사쿠라 역시 같은 방식으로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시즈키가 적어놓은 수치는 [60], 사쿠라가 적어놓은 숫자는 [75]입니다. 이 중에 미키가 선택했던 [높은 수]는 [75]로, [55 + 75 = 130]이 됩니다. 위의 규칙에 따라 100의 자리수를 빼서 최종적으로는 [30]. 표에 따라 레벨의 범위는 [ 11 ~ 20 레벨 ] 사이의 수치가 됩니다. 이어서 숫자 [30]의 10의 자리 숫자와 1의 자리 숫자를 더해서 [3 + 0 = 3] 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사야카'의 레벨은 [13 레벨] 이 되었습니다.
마스터 |
1 ~ 5 |
6 ~ 10 |
11 ~ 15 |
16 ~ 20 |
21 ~ 25 |
26 ~ 30 |
보정 |
-10 레벨 |
-8 레벨 |
-6 레벨 |
-4 레벨 |
-2 레벨 |
- |
마스터 |
31 ~ 35 |
36 ~ 40 |
41 ~ 45 |
46 ~ 50 |
51 ~ 55 |
56 ~ 60 |
보정 |
+2 레벨 |
+4 레벨 |
+6 레벨 |
+8 레벨 |
+10 레벨 |
+12 레벨 |
: 마스터의 레벨은 오직 계약한 서번트의 레벨 보정에만 영향을 줌
: 마스터 스킬 습득을 1개 포기할 때마다, 서번트 레벨 페널티를 3레벨 분량 줄일 수 있음
(ex : 마스터 스킬을 3개 모두 습득하지 않을 경우, 9레벨 분량의 레벨 페널티를 줄일 수 있음)
(단, 반대로 스킬을 포기한다고 해서, 서번트가 추가로 레벨 보정을 얻지는 못함. 오직 페널티에만 적용)
→ -2레벨의 페널티를 가지고 있을 때 스킬을 하나 포기하고 +3레벨의 보정을 얻는다고 해서
+ 1레벨의 추가점을 얻지 못함.
5) 마스터 스킬
: 마스터는 직접 전투에 참여하지 않음. 대신 보조 스킬을 보유
: 아래의 스킬 중 3개의 스킬을 선택해서 습득
: <어시스트><인스턴트:회복>을 제외한 모든 스킬은 중복 습득 불가
<어시스트> 판정 강화 : 서번트의 통상 커맨드 카드에 부여, 해당 판정의 데미지에 +4
<어시스트> 퀵 강화 : 서번트의 '퀵' 속성 통상 커맨드 카드에 부여. 해당 판정의 데미지에 +5
<어시스트> 아츠 강화 : 서번트의 '아츠' 속성 통상 커맨드 카드에 부여. 해당 판정의 데미지에 +5
<어시스트> 버스터 강화 : 서번트의 '버스터' 속성 통상 커맨드 카드에 부여. 해당 판정의 데미지에 +5
<셋트> 공격력 증가 : 스킬을 사용한 라운드 동안, 서번트의 모든 통상/스킬 커맨드 카드의 데미지에 +2
<셋트> 방어력 증가 : 스킬을 사용한 라운드 동안, 서번트가 받는 모든 피해량을 -2
<셋트> 스킬 봉인 : 스킬을 사용한 라운드 동안, 상대의 <어택> 스킬 커맨드 카드를, 통상 판정 카드로 취급한다.
: 이 때, 해당 카드의 속성과 랭크는 본래 스킬 카드의 것을 적용한다.
<인스턴트> 회복 : 스킬을 사용한 즉시 서번트의 HP를 5점 회복
<인스턴트> 회복Ⅱ : 회복 스킬을 중복 취득하는 것으로 해당 스킬을 습득. 스킬을 사용한 즉시 서번트의 HP를 10점 회복
<인스턴트> 상태이상 부여 : 적에게 특정 상태 이상 상태를 부여. 스킬 취득 시 상태이상의 종류를 선택
<인스턴트> 상태이상 해제 : 서번트에게 부여된 모든 상태 이상을 해제.
<인스턴트> 회피 : 특정 판정에 대해 회피 상태를 부여. (전투룰 참조)
<패시브> 판정 증가 : 서번트에게 퀵/아츠/버스터 중 원하는 속성의 커맨드 카드를 1장 추가
<패시브> 생명력 증가 : 서번트의 최대 HP를 10점 증가
<패시브> 회복력 증가 : 전투 종료 시 서번트의 HP 5점 회복, 매 장면 종료 시 서번트의 HP 2점 추가 회복
////////////////////////////////////////////////////////////////////////////////////////
1. 서번트 설정
1) 인적사항 : 진명, 나이, 성별, 외형 등등의 설정
2) 배경 : 캐릭터가 살아왔던 삶. 그로 인해 가지게 된 신념 → 성배전쟁에 참가하게 된 이유, 목적, 성배에 바라는 소원
: 성배 전쟁에 참가하게 된 계기나, 성배에 바라는 소원 등은 반드시 캐릭터의 '신념'에 근거해야 합니다.
3) 클래스
1. 세이버 : 스테이터스 설정 시 설정 점수 +10
2. 아처 : A랭크의 스킬 1개 추가 습득
3. 랜서 : 커맨드 카드를 1장 추가 보유. 엑스트라 어택의 피해량 +5
⓵ 서번트의 레벨은 최소 50에서 최대 80까지입니다.
⓶ GM과의 합의하에 레벨을 정하되, 아래의 구분 단위를 보고 해당 범위를 정합니다.
하급 영령 |
통상 수준의 영령 |
상급 영령 |
최상급 영령 |
50 ~ 55 레벨 |
56 ~ 65 레벨 |
66 ~ 75 레벨 |
76 ~ 80 레벨 |
※ 하급 영령 : 근대(통상적으로 산업혁명기) 이후의 인물, 혹은 그리 빼어나지 못한 수준의 인물
ex) 5차 아처, 세익스피어, 프랑켄슈타인, 잭 더 리퍼
※ 통상 수준의 영령 : 일반적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이야기 속의 인물
ex) 사사키 코지로, 핫산 사바흐, 질 드 레, 디어뮈드, 메두사, 메데이아, 스파르다쿠스, 블라드 3세, 아스톨포, 아비케브론, 아탈란테
※ 상급 영령 : 그 강함이 잘 알려져 있는, 영웅담의 주인공 / 당시의 세계를 대격변 시킨 인물
ex) 아르토리아, 쿠 훌린, 이스칸달, 란슬롯, 모드레드, 아킬레우스, 지크프리드, 케이론, 세라스미스
※ 최상급 영령 : 신화 속의, 또는 범접할 수 없는 수준의 전설 속 대영웅
ex) 길가메시, 헤라클레스, 카르나
⓷ 추가로 플레이어들은 각각 0에서 9 사이의 숫자를 GM에게 제시합니다.
⓸ 이어, 원하는 인물을 두 명 선택하고, [높은 수]와 [낮은 수]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⓹ GM은 플레이어가 지목한 인물이 제시한 숫자 중 [높은 수]와 [낮은 수]를 확인합니다.
⓺ 플레이어가 제시한 숫자와, 선택한 숫자를 더합니다.
⓻ 이렇게 더해서 만들어진 숫자의 1의 자리 숫자를 보고, 레벨을 확정합니다.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하급 |
50 |
51 |
51 |
52 |
52 |
53 |
53 |
54 |
54 |
55 |
통상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상급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최상급 |
76 |
76 |
77 |
77 |
78 |
78 |
79 |
79 |
80 |
80 |
플레이어 '아케미'는 자신의 서번트 '라이더' 가 어느 정도의 능력을 지니고 있는지를 정하려 합니다. GM과의 상의 하에 라이더는 [통상] 수준의 능력치를 지니고 있으면 적절할 것 같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서번트의 수준을 정한 뒤, 서번트의 레벨을 정하기 위해 '아케미'는 GM이 작성해 둔 서번트 캐릭터 설정용 게시글에 비밀글로 [5], [토모에 & 카나메], [낮은 수] 라고 적어두었습니다.
다른 서번트 캐릭터의 플레이어인 '토모에'와 '카나메'는 각각 [3]과 [1] 을 적어둔 상태입니다. 따라서 선택된 것은 낮은 수인 [1]. '아케미'가 작성해 두었던 [5]와 '카나메'가 적어둔 [1]을 더해 [6] 라는 수치가 나왔으며, 표와 대조해 본 결과 라이더의 최종 레벨은 62 레벨로 결정되었습니다.
////////////////////////////////////////////////////////////////////////////////////////////////////////////////////////////////////////////////////
⓵ 능력치는 [근력][내구][민첩][마력][행운], 그리고 [기술]과 [보구]으로 구성됩니다.
1. 능력치의 설정 점수 :
① 서번트는 [자신의 레벨 × 2]점의 설정 점수를 가지고 능력치에 원하는 대로 배분합니다.
② 능력치에는 각각의 랭크로 올리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설정 점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③ [근력][민첩][내구][마력][행운] // 보유 [스킬] // 보유 [보구]를 설정 점수를 배분하여 작성합니다.
④ 사용하지 못한 설정 점수는 버려집니다.
※ 인지도와 마스터의 수준에 따른 보정치의 수정
인지도 및 계약한 마스터의 수준으로 인해 레벨이 수정되는 경우가 발생할 것입니다. 이 변동값은 미리 정하지 않습니다. 서번트의 설정을 순서대로 진행하면 먼저 자신의 서번트가 완성이 된 뒤에 계약 및 소환이 진행될 것입니다.
즉, 보정치로 인한 추가 능력치의 변동은 [본래 서번트의 능력이 확정된 상태] 이후에 해당 능력치에서 변동을 주게 됩니다. [ 보정레벨 × 2 ] 만큼의 설정 점수를 받게 됩니다. 다만, 이 경우 일부 포인트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남은 점수는 버려집니다. 이런 점들에 유념하시고 설정을 진행해 주십시오.또한 GM이 원한다면 [기술] 이나 [보구]의 수정은 불가능한 것으로 취급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플레이어들과의 협의 하에 조율하십시오.
서번트의 인지도
서번트는 소환된 지역에서의 인지도에 따라 능력치에 추가적인 보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GM은 현실 세계의 특정 지역을 기준으로 잡고(게임 상의 배경이 꼭 같을 필요는 없습니다.) 소환된 서번트가 해당 지역에서 얼마나 잘 알려져 있을지를 정합니다.
이렇게 얻어진 인지도는 아래 표에 따라 추가적인 레벨 보정이 적용됩니다. 인지도의 수준은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정하면 될 것입니다. (최종적으로는 GM과 플레이어의 합의를 통해 정합니다. 아래 기준은 어디까지나 예시입니다.)
인지도 |
1 |
2 |
3 |
4 |
5 |
6 |
7 |
보정 |
-5 레벨 |
-2 레벨 |
- |
1 레벨 |
3 레벨 |
5 레벨 |
6 레벨 |
1레벨 |
깊숙하게 파고들면 관련 일화를 간신히 찾아낼 수 있음.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드물게 알려져있음 |
2레벨 |
조사해 본다면 그에 대한 이야기를 쉽게 찾을 수 있음. 구글링 하면 그에 대해 언급된 이야기를 찾을 수 있음. 널리 알려진 책에 드물게 언급되어있음. |
3레벨 |
널리 알려진 책에 가볍게나마 언급되어있음 |
4레벨 |
흔히 볼 수 있는 책에서 쉽게 이름을 접할 수 있는 정도 (한글) 구글링 해 보면 위키피디아에 관련 개별 항목이 작성되어 있는 정도 관심이 있다면 관련된 책자나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음 |
5레벨 |
이름 정도는 누구나 들어본 적이 있음 주변에서 그에 관해 알고 있는 사람을 금방 찾을 수 있음 |
6레벨 |
이름만 대면 누구나 관련 일화를 말할 수 있을 정도 전 세계 레벨로 위인전이 통용되고 있음 그 본인의 이름을 딴 신화, 전설 등이 출간되어 있음 해당 지역에서 신격화 구전 전승 등으로 누구나 관련 일화, 이야기를 들어본 경험이 있음 |
7레벨 |
6레벨 수준에 더해, 해당 지역 출신의 영령 |
[서번트의 레벨 × 2] + [(인지도 +마스터 보정) × 2] 의 점수로 서번트를 작성(X)
[서번트의 레벨 X2]로 서번트를 만들고 [(인지도 +마스터 보정) × 2]의 점수를 추가로 받아서 능력치를 상승 or 스킬 및 보구의 생성
: 플레이어와 진행자의 합의 하에, 신규 생성을 가능하게 할 수도, 하지 못할 수도 있음!
능력치 & 기술
랭크 |
E |
D |
C |
C+ |
B |
B+ |
점수 |
1 |
3 |
6 |
8 |
10 |
13 |
랭크 |
B++ |
A |
A+ |
A++ |
A+++ |
EX |
점수 |
16 |
15 |
19 |
23 |
27 |
30 |
보구
랭크 |
E |
D |
C |
C+ |
B |
B+ |
점수 |
2 |
6 |
12 |
16 |
20 |
26 |
랭크 |
B++ |
A |
A+ |
A++ |
A+++ |
EX |
점수 |
32 |
30 |
38 |
46 |
54 |
60 |
5-1) 스테이터스 : 근력, 민첩, 내구, 마력, 행운
: 전투에 사용하는 커맨드 카드의 데미지에 영향을 줌
: 각각의 커맨드 카드(퀵/아츠/버스터)에 대해, 2종류의 능력치를 매칭.
- 이 때, 각각의 능력치는 최소 1번씩은 사용해야 함. 따라서 단 1종류의 능력치만 2회 사용하게 됨
ex) 퀵 = 민첩 + 행운 // 아츠 = 마력 + 내구 // 버스터 = 근력 + 마력
: 지정된 능력치의 랭크에 따른 수치를 더한 뒤, 절반(버림)으로 수치를 계산. 해당 커맨드 카드의 피해량이 됨
- E랭크 : 1점 / D랭크 : 2점 / C랭크 : 3점 / B랭크 : 4점 / A랭크 : 5점 / EX : 6점
- C랭크 + B랭크 = (3점 + 4점) /2 = 7/2 = 3점 (소수점 버림)
: + 스테이터스
1) 능력치에 + 스테이터스가 있을 경우, 해당 능력치를 사용하는 커맨드 카드에 효과를 사용 가능
2) 전투 중 1장의 커맨드 카드를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한 장의 커맨드 카드에 + 스테이터스를 중복해서 적용할 수 없다.
4) 해당 효과가 적용된 커맨드 카드는 아래의 효과를 지닌다.
- 전투 판정에서 승리 시 : 피해량을 2배로 적용
- <어택> 스킬 카드에 대해 : 통상적인 커맨드 판정의 승패로 처리, 피해량은 증가하지 않는다.
- 동일한 속성의 커맨드 카드와 맞붙을 경우, 랭크에 관계 없이 승리한다.
5) + 스테이터스 효과를 가진 커맨드 카드끼리 대결할 경우에는 서로 해당 효과를 상쇄, 통상적인 판정으로 진행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 스테이터스의 효과 역시 적용되지 않는다.
: <어택> 계열 스킬은 최대 2개까지만 습득 가능하다.
: 서번트 스킬은 최대 6개까지만 습득 가능하다.
: <패시브> 스킬은 중복 습득할 수 없다. (단, 특공 스킬의 경우 계통이 다를 경우 별개의 스킬로 취급한다.)
: 스킬 설명에 있는 <스킬랭크>는 아래의 기준에 따라 그 효과를 적용한다.
- E랭크 : 1점 / D랭크 : 2점 / C랭크 : 3점 / B랭크 : 4점 / A랭크 : 5점 / EX : 6점
:
<어택 : 퀵> '퀵' 속성. 3 + 스킬 랭크 만큼의 피해를 입힌다.
<어택 : 아츠> '아츠' 속성. 3 + 스킬 랭크 만큼의 피해를 입힌다.
<어택 : 버스터> '버스터' 속성. 3 + 스킬 랭크 만큼의 피해를 입힌다.
<어시스트> 퀵 강화 : '퀵' 속성 통상/스킬 커맨드 카드에 부여. 해당 판정의 데미지에 +스킬랭크
<어시스트> 아츠 강화 : '아츠' 속성 통상/스킬 커맨드 카드에 부여. 해당 판정의 데미지에 +스킬랭크
<어시스트> 버스터 강화 : '버스터' 속성 통상/스킬 커맨드 카드에 부여. 해당 판정의 데미지에 +스킬랭크
<어시스트> 회복 : 통상 커맨드 카드에 부여. 공격 성공 시 자신의 HP를 스킬랭크 만큼 회복
<어시스트> 상태이상 부여 : 통상 커맨드 카드에 부여. 공격 성공 시 지정한 상태 이상을 부여한다.
: 상태 이상의 효과는 스킬랭크 만큼의 시간 동안(=효과 적용 횟수) 지속된다.
<패시브> 생명력 증가 : 최대 HP를 스킬랭크 ×3점 증가
<패시브> 엑스트라 어택 강화 : 엑스트라 어택의 데미지 +(스킬랭크×2)
<패시브> 특공 : 해당 서번트가 보유한 속성에 따라 추가 피해. 모든 통상/스킬 커맨드 카드의 데미지에 +(스킬랭크×2)
: 특공 속성을 여럿 보유하고 있어도 하나만 적용 가능
: 특공 스킬을 익혔을 때, 같은 계열 (<클래스><혈통><가치관><속성>)의 특공을 더 얻는 것은 불가
ex) [세이버 특공]을 습득한 뒤, [아처 특공]을 또 얻는 것은 불가
: + 스테이터스
1) 스킬에 + 스테이터스가 있을 경우, 게임 중 3회까지, 해당 스킬의 +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 와 같이, +스테이터스를 복수로 가진 스킬의 경우, 그만큼 사용 횟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취급한다.
2) <어택>
- 전투 판정에서 승리 시, 피해량을 2배로 적용한다.
- 상대가 통상 커맨드카드에 + 효과를 사용했어도 해당 효과를 무시하고 승리할 수 있다.
- 동일한 속성의 커맨드 카드와 맞붙을 경우, 랭크에 관계없이 승리한다.
- 상대의 스킬 카드와 맞붙어 패배했을 경우에도, 절반(버림)의 피해를 입힐 수 있다.
3) <어시스트>
- 어시스트를 통한 데미지 증가량 및 HP 회복량을 2배로 적용한다.
- 어시스트를 통한 상태이상 부여 시, 강화된 효과가 적용된다.
4) <패시브> : 패시브 스킬에는 + 스테이터스를 1개만 적용할 수 있다.
- 생명력 증가 : 최대 HP 증가량을 스킬랭크 ×5점으로 바꿔 적용한다.
- 엑스트라 어택 강화 : 엑스트라 어택의 데미지를 +(스킬랭크×3) 으로 바꾸어 적용한다.
- 특공 : 특공의 데미지 증가량을 +(스킬랭크×3)으로 바꾸어 적용한다.
5) + 스테이터스 효과를 가진 스킬 커맨드 카드끼리 대결할 경우에는 서로 해당 효과를 상쇄, 통상적인 판정으로 진행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 스테이터스의 효과 역시 적용되지 않는다.
: 전체 게임 중에, 2회 사용할 수 있다.
: 이후에 보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령주>를 이용해 보구 사용 횟수를 회복시켜야 한다.
: <보구>는 1개만 습득 가능하다.
: 보구 역시 커맨드 카드로 취급하며, 통상/스킬 판정에 대해 항상 우위에 있다.
: 보구 판정이 사용되었을 때, 해당 턴의 커맨드 카드 승패는 모두 무시한다. 보구를 사용한 측이 일방적으로 승리한다.
단, 이 경우 엑스트라 어택은 발동하지 않는다.
: 보구 판정은 <25 + 보구랭크 ×2> 점의 피해를 입힌다..
: 보구를 사용한 턴에, 상대가 <인스턴트:회피> 를 사용할 경우
- 해당 능력이 적용된 커맨드 카드의 순서에 상관 없이 <보구> 판정을 회피한 것으로 취급한다.
- 보구 커맨드 카드가 사용된 판정은 무효화. 남은 2장의 카드는 통상적으로 승패를 겨룬다.
: 보구의 + 스테이터스
- 아래의 효과 중 하나를 선택해 적용한다. + 스테이터스마다 하나씩 선택 가능하며, 중복 취득도 가능하다.
= 해당 보구의 사용 횟수 +1회
= 해당 보구의 기본 데미지에 +5
: EX 보구
- EX 랭크의 보구는 통상의 보구 효과를 적용하지 않고, 아래의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 적용한다.
= 사용 횟수 3회 (기본 +1회) & 데미지 50점
= 사용 횟수 1회 & 데미지 35점, 상대의 <인스턴트:회피> 무시
6. 기타
: 서번트는 40점의 HP를 지닌다.
: 이는 매 장면 종료 시 10점씩 회복된다.
: 서번트는 <클래스><혈통><가치관><성향> 이라는 4개의 특성을 가진다.
4. 전투
1) 모든 서번트는 기본 10개의 커맨드 카드를 보유한다.
: 커맨드 카드는 퀵/아츠/버스터 로 분류하며, 스테이터스에 따라 데미지 수치가 정해져 있다.
: 상대가 보유한 커맨드 카드는 전투 시작 시 서로에게 공개된다.
5. 기타
1) 서번트와 마스터의 인연
: 서번트와 마스터의 인연은 초기치를 0으로 시작, -3단계(부정적) ~ +3단계(긍정적) 인 관계로 변화한다.
: 인연의 단계에 따라 아래의 효과를 얻는다.
= -3단계 : 전투를 하기 위해서 반드시 령주 1획을 사용해야한다.
전투가 발생했을 때, 마스터에게 령주가 남아있지 않다면 게임에서 탈락한다.
= -2단계 : 서번트의 <보구>를 사용할 수 없다.
= -1단계 : 서번트가 보유한 <스킬> 중, 특정 카테고리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어택> <어시스트> <패시브> 중에 선택. 자신이 보유하지 않은 계통을 선택할 수는 없다.
= +1단계 : 서번트가 보유한 모든 통상 커맨드 카드의 데미지에 +1
= +2단계 : 서번트의 스킬 랭크가 1랭크 상승한 것으로 취급한다.
= +3단계 : 마스터 스킬을 전투 중 1회씩 더 사용할 수 있다.
2) 정보 등급
: 정보 등급을 3점까지 모을 경우, 상대의 [진명]을 알 수 있다.
상대에 대해 일방적으로 [진명]을 알고 있을 경우, 아래의 효과 중 하나를 선택해 적용할 수 있다.
(서로가 진명을 알고 있을 경우에는 상쇄된다.)
- 매 라운드, 1회라도 상대에게 피해를 입혔을 경우 엑스트라 어택이 발동한다.
- 대상과 전투 시, 임시 HP를 20점 얻고 시작한다.
- 3회의 라운드 중, 원하는 1회의 라운드에 상대의 커맨드카드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3) 다른 마스터와의 인연
: 다른 마스터와 인연이 있을 경우
- 특정 대상에 대해 [정보등급]을 올렸을 경우, 인연이 있는 상대도 자동으로 해당 정보 등급을 얻는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0.9 ver. 진행 규칙 | 카와이루나링 | 2018.05.10 | 372 |
공지 | 장면 2 : 밤 장면 행동 선언 [25] | 카와이루나링 | 2018.06.21 | 323 |
공지 | 그리고, 세계는 움직이기 시작한다. [11] | Elfriede | 2018.05.27 | 183 |
공지 | 캐릭터 셋팅 방법 [추가] [18] | 카와이루나링 | 2018.05.12 | 318 |
» | 0.9 ver. 진행 규칙 | 카와이루나링 | 2018.05.10 | 487 |
4 |
[공개 프로필] 줄리안 브란도 / 어쌔씬 [BGM] 2016.07.21
![]() | ahaz | 2016.07.15 | 143 |
3 | 0.9 beta. 캐릭터 설정 관련 [20] | 카와이루나링 | 2016.07.15 | 312 |
2 |
Jullian Bart Van brando Lindeman
![]() | ahaz | 2016.07.15 | 12 |
1 | 0.9 ver. 마스터 & 서번트 설정 방식 [21] | 카와이루나링 | 2016.06.14 | 371 |